글쓰기, 왜 우리는 멈추지 못하는가?
기술이 발달하고, AI가 글을 대신 써주는 시대가 왔습니다.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가 우리의 시간을 차지하고, 짧은 영상과 이미지가 정보 전달의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더 이상 글을 쓰지 않아도 되는 걸까요?
하지만 여전히 수많은 사람들이 글을 쓰고 있습니다. 책상 앞에 앉아 종이를 펼치고, 타자를 치며, 머릿속 생각을 문장으로 정리합니다. 심지어 **눈꺼풀만 깜빡일 수 있는 상태에서도 글을 쓰는 사람도 있습니다.**
왜 우리는 이렇게 힘든 일을 계속하는 걸까요? 도대체 글쓰기란 무엇이길래, 인간은 끝까지 글을 쓰는 것일까요?
글쓰기가 우리를 해방시키는 이유
인간은 극한의 상황에서도 글을 씁니다. 감옥에서, 전쟁터에서, 심지어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에서도 글을 씁니다. 글쓰기는 단순한 기록이 아닙니다. 우리를 속박에서 해방시키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 글을 쓰는 동안, 우리는 살아 있음을 느낀다 – 프랑스 장 도미니크 보비는 뇌졸중으로 전신 마비가 된 후에도 **왼쪽 눈꺼풀을 깜빡이며 글을 썼습니다.** – 15개월 동안 눈을 20만 번 이상 깜빡이며 완성한 책 잠수종과 나비는 전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 글을 쓰는 동안, 우리는 자신을 직면한다 – 글을 쓸 때, 우리는 과거의 기억과 감정을 마주합니다. – "나는 용서한다."라고 쓰려고 했지만, 끝내 "용서할 수 없다."라고 적는 순간, 우리는 **자신의 진짜 감정을 깨닫게 됩니다.**
- 글을 쓰는 동안, 우리는 세상의 억압에 맞선다 – 독재 정권과 사회적 억압 속에서도 작가들은 글을 통해 저항했습니다. – **사마천은 궁형을 당한 후에도 사기를 집필하며 역사에 자신의 이름을 남겼습니다.**
글쓰기는 최후의 자유다
우리의 삶에는 수많은 속박이 있습니다. 사회적 억압, 경제적 문제, 육체적 한계… 하지만 아무리 많은 것을 빼앗겨도, 글을 쓸 수 있는 자유만은 남아 있습니다.
히틀러 치하에서도, 스탈린의 감옥에서도, 수많은 작가들은 글을 쓰며 자신의 정체성을 지켜냈습니다. 글쓰기는 인간이 가진 마지막 권리이며, 우리가 스스로를 지키는 방법입니다.
글쓰기가 우리를 변화시키는 과정
글쓰기는 단순한 기록이 아닙니다. **우리가 살아 있음을 증명하는 과정**입니다. 그리고 글을 쓰는 동안, 우리는 변화합니다.
- 한 글자, 한 문장을 쓰는 동안 우리는 성장한다 – 히말라야를 등반한 산악인에게 "어떻게 정상에 올랐냐?"고 묻자, 그는 **"한 걸음, 한 걸음씩 걸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 글도 마찬가지입니다. 한 글자씩 쓰는 동안, 우리는 성장합니다.
- 과거의 기억을 정리하고, 감정을 통제할 수 있게 된다 – 쓰면서 우리는 감정을 언어화하고, 그 감정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습니다.** – 과거의 트라우마가 두려운 이유는 **언어화되지 않은 감정이기 때문입니다.** – 글을 쓰는 순간, 우리는 그 감정을 통제할 수 있게 됩니다.
- 우리의 생각이 정리되고, 삶이 선명해진다 – 막연한 불안 속에서 살다가도, 글을 쓰면 생각이 정리됩니다. – 마치 흐릿한 렌즈를 닦아내는 것처럼, **삶의 방향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당신도 글을 써야 하는 이유
우리는 모두 언젠가 쓰고 싶은 이야기를 품고 있습니다. 하지만 **"나는 작가가 아니야."**, **"글을 잘 못 써."**라는 생각에 쉽게 포기하곤 합니다.
그러나 글쓰기는 작가들만의 것이 아닙니다. 글을 쓴다는 것은 살아 있다는 증거입니다. 우리 삶의 기록이며, 과거의 나를 직면하고, 미래의 나를 변화시키는 힘입니다.
결론
글을 쓰는 것은 단순한 기록이 아닙니다. 그것은 자신을 이해하고, 세상에 저항하며, 살아 있음을 증명하는 행위입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누군가는 책상 앞에 앉아 글을 쓰고 있습니다. 과거의 상처를 마주하고, 자신의 감정을 정리하며, 내일을 준비합니다.
첫 문장을 적어보세요. 그 한 문장이 모든 것을 바꿔놓을 수도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IoGFHghNTk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미국 미술대학 순위 BEST 10!-미국사립미술대학 (0) | 2025.03.03 |
---|---|
국어 공부의 새로운 시작 : 읽기의 즐거움 찾기 나민애의 다시 만난 국어 (2) | 2025.02.13 |
평범한 나를 기록하는 가장 쉬운 방법 -김애리저자 '어른의일기' (0) | 2025.02.12 |
나만을 위한 글쓰기 : 에세이 쓰는 법 - 나민애의 다시 만난 국어 (1) | 2025.02.11 |
유시민님의 말하듯이 글쓰는 방법 강연중 (0) | 2025.02.10 |